정보시스템 아웃소싱의 개념 알려드립니다.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의 개념에 대하여 알려드립니다.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의 개념
아웃소싱(Outsourcing)이라는 개념은 전통적으로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대부분의 기업들이 직면해 왔던 '자체조달 또는 외부조달(make or buy)'이라는 의사결정의 일부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즉, 아웃소싱이란 기업경영에 필요한 업무의 일부를 일시적 또는 장기적으로 외부 전문업체에 위탁하는 방법으로서, 기업이 내부의 자원을 전략적으로 중요하고 가장 높은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부문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시키고자 하는 경영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보시스템 분야에 있어서도 아웃소싱은 조직이 내부의 정보시스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외부의 전문적인 공급자를 고용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는데, 여기서 내부의 욕구는 인력, 설비,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모두 포함합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아웃소싱이란 "한 조직의 정보 기술 기반구조를 형성하는 물리적 또는 인적자원의 전부 혹은 특정 부문에 외부공급업체가 기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편, 아웃소싱을 우리말로 표현한다면 상황에 따라서 '외주' 또는 '위탁' 등으로 번역하는 것이 적합할 것입니다. 그리고 아웃소싱과 상대되는 용어로 인소싱(insourcing)이라는 용어가 있는데, 이는 우리말로 '내부조달' 또는 '자체조달' 등으로 번역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국IBM, 삼성SDS, 포스코ICT 등과 같은 정보시스템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외부 전문업체로부터 정보시스템 관련 서비스를 받고 일정 금액의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업무들이 포함됩니다.
(1) 데이터처리 : 생산, 판매, 인사 등의 분야에 있어서 응용시스템에 의한 거래처리를 말합니다.
(2) 실비관리 : 기업이 가지고 있는 컴퓨팅 시설을 외부 전문업체가 관리하고 통제하는 것을 말합니다.
(3) 응용프로그램의 개발과 유지 보수 : 외부 전문 업체가 시스템 개발과 유지 보수를 위탁받아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4) 텔레커뮤니케이션 관리 : LAN, 인터넷 등의 개발과 운영에 관한 서비스를 말합니다.
(5) 시스템 통합 : 컴퓨터와 주변기기, 각종 소프트웨어와 통신망, 시스템 개발요원 등을 자기책임 하에 조달 확보하여 제공하는 것입니다
한국의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경향
아웃소싱은 정보시스템 분야에서 전혀 새로운 개념이 아닙니다. 이미 앞서 살펴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확보 방법의 유형으로 제시한 하드웨어 임차 방식이나 외주 개발, 또는 패키지 도입 등도 아웃소싱의 한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아웃소싱은 오래전부터 정보시스템 확보를 위한 기업전략의 하나로 인식되어 왔지만 오늘날에는 과거와는 달리 범위나 규모면에서 기존의 상식을 뛰어 넘을 뿐 아니라, 성공적인 아웃소싱으로 인한 경비절감 효과 또한 엄청난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전통적으로 조직의내부 사정을 외부에 노출시키기를 꺼려하는 기업풍토로 인하여 아웃소싱에 대해 비교적 부정적인 입장을 취해왔습니다. 이런 분위기 때문에 1980년대까지만 해도 국내기업에서의 아웃소싱은 그 대상이 일부 긴급을 요하는 응용시스템 개발이라든가, 프로그램 코딩 등 극히 좁은 범위에 국한되었던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리고 아웃소싱을 하는 기업의 대부분은 자체 인력확보가 어려운 중소기업이었고, 아웃소싱을 적극적인 대안으로 모색하는 대기업은 더욱더 찾아보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러다가 1990년대 초부터 재벌그룹 위주로 그룹 내 각 계열사에 흩어져 있던 전산실을 통합하여 정보처리 전문 자회사를 설립한 후 이 업체에 각 계열사의 정보시스템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위탁하는 형태의 아웃소싱이 유행하기 시작하였고, 이런 경향은 점차 중견그룹이나 금융권으로까지 확대되어 왔습니다. 이렇게 볼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독립적인 전문업체를 대상으로 하는 진정한 의미의 아웃소싱 전략을 채택하는 것이 보편화 되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전체적인 규모 면으로 볼때 최근 국내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시장은 크게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