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즈코딩스쿨(2025년) : 소자본 창업 NO! 이제는 무자본 창업이 대세. 딱 4개월 만에 무자본으로 창업하자
- 문제점 : 소자본 창업은 가능한데 무자본 창업은 불가능해 보이며, 과장광고로 보입니다.
- 분석 : 증명 및 약속할 수 없는 표현 및 과장 (과장 광고로 보일 수 있음)
- 개선안 : 대자본 창업 NO! 이제는 소자본 창업이 대세. 딱 4개월 만에 소자본으로 창업하자
2. 한국 AI컨텐츠연구소 대표 이도혜 : 챗GPT 300% 활용방법. 업무효율을 극해화하고, AI아트, 영상, 영화 , 음악생성까지 창의력의 한계를 넘어 수익실현까지
- 문제점 : 챗지피티 강의하고자 하는 내용이 너무 많이 나열되어 있다.
- 분석 : 하고 싶은 말 단순나열, 너무 많은 메시지
- 개선안 : AI로 업무천재가 된 최과장은 어떻게 챗GPT 달인이 되었을까?
[무료] 5/6(화) (야간) 남양주 다이닝몽드 : 소통교육원
[무료] 5/6(화) (야간) 남양주 다이닝몽드 : 소통교육원
무료강연을 진행하는 소통교육원 입니다.
sotong4860.imweb.me
모범 예시
1. 삼성전자 (2013년): "삼성, 더 나은 선택"
- 문제점: 일부 소비자들은 이 문구가 제품 품질과 실제 경험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느꼈습니다. 제품 성능에 대한 불만이 이를 증폭시킴.
- 분석:
- 6. 구매 여정 고려 부족: 제품의 구체적 강점이나 소비자 혜택이 드러나지 않음.
- 7. 모호하고 진부한 표현: "더 나은 선택"이라는 표현이 구체적이지 않음.
- 개선안:"Experience reliability with Samsung. Crafted for your everyday." → 제품 신뢰성과 일상적 편리함을 강조.
2. LG생활건강 (2014년): "건강을 위한 선택"
- 문제점: 이 문구가 실제 제품의 건강 관련 효과를 명확히 증명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음.
- 분석:
- 10. 과장된 표현: 건강에 좋은 제품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구체적 데이터 부족.
- 개선안:"Feel refreshed. Naturally with LG." → 자연 성분과 상쾌함을 강조하며 과장 표현 회피.
3. 롯데리아 (2015년): "상상이상의 맛"
- 문제점: 소비자들은 맛이 기대 이하라는 불만을 표함.
- 분석:
- 3. 하고 싶은 말 나열: 맛에 대한 과장된 표현이 소비자 기대를 충족하지 못함.
- 개선안:"한 입 가득 기쁨,언제나 롯데리와 함께." → 제품의 일상적인 만족감을 강조하며 과장 표현 지양.
4. 쿠팡 (2020년): "모두를 위한 최고의 쇼핑"
- 문제점: 배송 지연 및 품질 문제로 인해 소비자 불만 발생.
- 분석:
- 7. 모호한 표현: "최고의 쇼핑"이라는 추상적 문구로 구체적 혜택이 드러나지 않음.
- 개선안:"더 빠르고 간편하게, 완벽해진 당신의 쇼핑." → 배송 속도와 편리함을 강조.
5. 해태제과 (2016년): "달콤함의 절정"
- 문제점: 일부 소비자들이 제품이 예상만큼 달콤하지 않다고 느껴 기대감을 충족하지 못함.
- 분석:
- 7. 모호한 표현: 제품의 맛을 객관적으로 설명하지 못함.
- 개선안:"A balanced sweetness. Perfectly crafted for you." → 맛의 균형과 섬세함을 강조.
6. 이니스프리 (2017년): "자연을 담은 화장품"
- 문제점: 일부 소비자들이 화장품 성분이 "자연 유래"라는 주장에 의문을 가짐.
- 분석:
- 10. 증명되지 않은 주장: "자연"이라는 표현이 구체적인 제품 특징과 연결되지 않음.
- 개선안:"자연에 더 가까이 더 안전하게." → 자연 유래와 안전성을 명확히 전달.
7. LG전자 (2018년): "혁신을 만나다"
- 문제점: 일부 소비자들이 기대한 혁신성이 제품에서 드러나지 않음.
- 분석:
- 7. 진부한 표현: "혁신"이라는 추상적 단어에 구체적 설명이 부족.
- 개선안:"Every detail. Engineered for your future." → 구체적 기술력과 미래 지향성을 강조.
8. 현대자동차 (2015년): "세계를 바꾸는 창의"
- 문제점: 제품이 실제 혁신적이라고 느껴지지 않아 비판을 받음.
- 분석:
- 7. 모호한 카피: "창의"라는 개념이 추상적이고, 제품과 연결되지 않음.
- 개선안:"길의 정의를 새롭게,매 순간 앞으로 나아가며." → 기술과 성과를 구체적으로 강조.
9. 아모레퍼시픽 (2016년): "포근한 피부"
- 문제점: 일부 소비자들이 제품이 효과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한다고 느낌.
- 분석:
- 7. 진부한 형용사 사용: "포근한"이라는 표현이 측정 가능한 구체적 의미를 전달하지 않음.
- 개선안:"Softer touch. Proven care with Amore." → 부드러움과 신뢰성을 강조.
10. 빙그레 (2018년): "토종의 자부심"
- 문제점: 글로벌 소비자들에게는 공감을 얻지 못하고, 국내 소비자들에게도 지나치게 국수적으로 보임.
- 분석:
- 3. 메시지 나열: 지역성과 자부심만 강조하며 글로벌 시장에서는 효과 감소.
- 개선안:"Proudly local, loved globally." → 지역성과 글로벌 인기를 모두 아우르는 메시지.
'사업개발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장 호흡 정리 연습하기 (1) | 2025.04.22 |
---|---|
나만의 브랜드 이름과 로고 만들기(3개) (0) | 2025.04.21 |
제안 콜드 메일 보내기 (0) | 2025.04.18 |
세일즈 위닝 시나리오 만들기 (3) | 2025.04.17 |
세일즈 위닝 시나리오 만들기 (0) | 2025.04.17 |